티스토리 뷰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수익이 날때도 있고 손해가 날때도 있습니다. 주식은 실명으로 거래를 하는거라서 모든 수익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세금이 부과 됩니다. 주식 거래로인해 발생하는 세금의 종류와 금액은 어느정도 되는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국내 주식 투자 수익 세금 종류
목차
1.증권거래세
2.주식 배당소득세
3.금융소득종합과세 (종합소득세)
4.주식 양도소득세
1. 증권거래세
증권사를 통해 주식을 매도할때 증권거래세가 부여됩니다. 이때 세금은 주식의 수익과 상관없이 매도 행위를 할때마다 발생하게 됩니다. 주식 거래시 내가 매도한 금액과 계좌에 실제 입금된 금액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증권사의 매매거래비용과 이 거래세가 제외되기때문입니다.
2021년~2022년 증권거래세
코스피 : 0.08%
코스닥 : 0.23%
기타 : 0.43%
이 세금은 2023년부터 조금더 인하 됩니다.
2021년~2022년 증권거래세
코스피 : 0%
코스닥 : 0.15%
기타 : 0.35%
2. 주식 배당소득세
주식 종목에 따라 배당금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배당금은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 * 배당금 만큼 나오며 이 배당 수익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배당소득세는 15.4%가 기본입니다.
주식 배당 소득세 15.4%
배당소득세 14%
지방소득세 1.4%
그런데 1년동안 받은 주식 배당금이 2천만원이 넘어간다면 종합소득세 과세됩니다. 이 경우 누직세율이 적용되기때문에 소득 구간에 따라 15.4%보다 높은 세금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3. 금융소득종합과세(종합소득세)
연간 금융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 했다 라고 이야기할때 금융소득에는 은행에 저축한 예금, 적금등으로 인해 발생한 이자 소득과 주식 거래를 통한 배당소득등이 포함됩니다. 이 금액이 연간 2천만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에 합산해서 과세하게 됩니다. 이때의 세율은 많이 벌수록 세금의 비율도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종합소득세 세율
1,200만원 이하 6%
1,200만원초과~4,600만원 이하 15%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24%
8,800만원 초과 1억 5천만원 이하 35%
1억 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 38%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40%
5억원 초과 42%
4. 주식 양도소득세
내가 가진 주식의 소유권을 다른사람에게 증여하거나 넘길수 있습니다. 이때 주식 양도에 대한 세금이 발생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소액을 투자하는 개미들이 주식을 양도할때는 세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분율이 코스피 주식 1%이상 코스닥 주식 2%이상일 경우이거나 해당회사의 주식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대주주가 주식을 양도했을경우에는 양도 소득세가 발생합니다. 이때문에 주식의 양도 소득세는 일명 부자세금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주식 양도 소득세율 (중소기업 기준)
양도 차익 3억원 이하 : 20%
양도 차익 3억원 초과 : 25%
돈이 있는곳에 늘 세금이 있습니다. 세금 많이내도 좋으니 살면서 부자세금 한번 내보는 경험 해보고 싶네요. ^^;
특히 주식과 금융의 경우 실명거래라서 세금을 피할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점 꼭 참고하세요!